본문 바로가기

교수진

교수진소개

교수진소개

제주대학교 사회학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글자크게 글자작게 프린트

최현 교수

  • 세부전공

    문화 및 정치사회학

  • 연구실인문대학 2호관 3층 1301호실
  • 전화/국제전화064) 754-2781/+82-64-754-2781
  • 이메일nuni85@cheju.ac.kr
  • 홈페이지https://sociology.jejunu.ac.kr/
경력 및 논문
경력 및 논문
학력

1989 서울대학교 사회학사
1999 미국 California대학교 (UCI) 대학원 사회과학 석사
2003 미국 California대학교 (UCI) 대학원 사회학과 사회학박사

주요경력
주요논문

2005. 한국종합사회조사 2004
2008.『인권』. 책세상
2010.『좌우파사전』. 공저, 위즈덤하우스
2012.『Contested Citizenship in East Asia』. 공저, Routledge.
2014.『공동자원론의 도전』. 공역, 경인문화사




Citizenship and Nationhood in China and Korea (1999)
Citizenship and Nationhood in the Republic of Korea (2001)
시민권(Citizenship), 민주주의, 국민-국가 그리고 한국사회 (2003)
대한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의 국민 정체성과 시민권 제도 (2003)
중국의 국민정체성과 시민권(또는 국적): 문화주의적 접근에 대한 (2003)
근대국가와 시민권 (2004)
한국 시민권(Citizenship) 특성에 관한 연구: 시민의 능동성과 공적 영역 지향성을 중심으로 (2004)
중국에서의 근대 국가의 발전: 여권을 통한 국민 관리 제도의 발전을 중심으로 (2004)
1960-70년대 미국의 한국 정치 개입: 미국의 한국 시민사회 동향 분석을 중심으로 (2005)
South Korean Nationhood and Chinese Nationhood: An Ethno-symbolist Approach (2005)
National Identity and Citizenship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nd the Republic of Korea (2006)
한국 시티즌쉽(citizenship): 1987년 이후 시민권 제도의 변화와 시민의식 (2006)
한ㆍ일 시티즌십(citizenship) 비교: 시민의식의 공적 영역 지향성과 능동성을 중심으로 (2007)
「탈근대적 시티즌십와 초국민적 정치공동체의 모색」. 『경제와 사회』 (2008).
「한국 사회 진보의 주체」. 『경제와 사회』 (2010).
「대한민국의 국적 제도의 개선 방안 모색: 영주권전치주의를 중심으로」. 『민주주의와 인권』 (2010).
「시장인간의 형성: 생활세계의 식민화와 저항」. 『동향과 전망』 (2011).
「공동자원 개념과 제주의 공동목장」. 『경제와 사회』 (2013).
「제주의 토지와 지하수-공동자원으로서의 공통점과 차이점」. 『동향과 전망』 (2013).
「제주의 바람: 공동자원론적 관리 방식」. 『탐라문화』 (2014).

+-

서영표 교수

  • 세부전공

    환경사회학, 사회학이론, 정치사회학, 도시사회학

  • 연구실인문대학 2호관 4층 1401호
  • 전화/국제전화064) 754-2782/+82-64-754-2782
  • 이메일seoyp@jejunu.ac.kr
  • 홈페이지https://sociology.jejunu.ac.kr/
경력 및 논문
경력 및 논문
학력

1996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졸업 문학사
2001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대학원 석사수료
2003 University of Essex 사회학과 대학원 사회학석사
2007 University of Essex 사회학과 대학원 사회학박사

주요경력
주요논문

저서
2008년 『런던코뮌』(이매진)
2009년 『사회주의, 녹색을 만나다』(한울아카데미)
2010년 『좌우파사전』(위즈덤하우스, 공저)
2011년 『민주주의의 급진화』(데모스, 공저)
2011년 『연대성의 정치학』(데모스, 공저)
2011년 『저성장시대의 도시정책』(한울아카데미, 공저)
2011년 『위기의 한국사회, 대안은 지역이다』(메이데이, 공저)
2012년 『독재자의 자식들』(북오션, 공저)
2013년 『한국 급진민주주의 프로젝트: 비판과 모색2』(데모스, 공저)
2013년 『세계자본주의의 위기와 좌파의 대안』(한울아카데미, 공저)
2013년 『녹색당과 녹색정치』(아르케, 공저)
2013년 『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한울아카데미, 공저)
2014년 『민주주의의 질과 아시아 민주주의 지표』(한울아카데미, 공저)
2016년 『민중: 영국 노동계급의 현대사』 (도서출판 클, 역자)
2016년 『신자유주의와 세월호 이후 가야할 나라』(앨피, 공저)
2016년 『공동자원의 섬 제주 2: 지역 공공성의 새로운 지평』 (진인진, 공저)
2017년 『불만의 도시와 쾌락하는 몸』 (진인진)
2017년 『혁명과 이행 - 러시아혁명의 현재성과 21세기 이행기의 새로운 혁명 전략』 (한울아카데미, 공저)
2017년 『공동자원론, 오늘의 한국사회를 묻다』 (진인진, 공저)
2017년 『포퓰리즘과 민주주의』 (소명출판, 공저)
2018년 『촛불항쟁과 새로운 민주공화국』 (한울아카데미, 공저)
2020년 『5·18과 이후: 발생, 감응, 확장』 (전남대 출판문화원, 공저)
2021년 『왜 지금 난민: 난민의 출현과 인식』 (도서출판 온샘, 공저)



학술논문
2008년 “영국 신좌파논쟁에 대한 재해석” 《경제와 사회》
2009년 “한국의 녹색담론” 《진보평론》
“체제논쟁과 헤게모니 전략” 《마르크스주의연구》(조희연과 공저)
“21세기 비판이론과 주체사상” 《경제와 사회》
“영국의 생태마르크스주의 논쟁” 《동향과 전망》
“자유주의 권리담론 비판: 미래세대와 동물의 권리” 《진보평론》
“소비주의 비판과 대안적 쾌락주의” 《공간과 사회》
2010년 “사회주의 도시정치의 경험” 《마르크스주의연구》
“도시와 농촌의 분리에 대한 녹색사회주의의 진단” 《진보평론》
“영국노동당 13년 평가” 《생명연구》
2011년 “21세기 사회주의 전략: 녹색사회주의+급진민주주의” 《진보평론》
“불타는 런던, 무엇이 보이는가?” 《진보평론》
2012년 “사회주의, 생태주의 민주주의” 《진보평론》
“신자유주의, 계급이 빠진 집합적 행위자들 사이의 게임?” 《황해문화》
“사회비판의 급진성과 학문적 주체성” 《경제와 사회》
“기로에 선 한국의 시민사회운동” 《진보평론》
“도시적인 것, 그리고 인권” 《마르크스주의연구》
“참여와 자치위에 세워진 녹색 공동체들의 연방” 《진보평론》
“기로에 선 영국 녹색당” 《환경사회학지 ECO》
2013년 “시민운동과 제도정치-일방적 지지인가 창조적 긴장인가?” 《황해문화》
“황무지 위에 선 진보좌파, ‘무엇’이 되어야 하는가?” 《문화과학》
“생명운동과 합리성은 공존할 수 없는가?”《모심과 살림》
“사회운동이론 다시 생각하기” 《민주주의와 인권》
“위험평가에 대한 현장 노동자의 인식연구” 《생명연구》
“인식되지 않은 조건, 의도하지 않은 결과” 《진보평론》
“객관성과 중립성의 신화 부수기-페미니즘 지식이론” 《진보평론》
2014년 “생태민주주의란 무엇인가?” 계간《민주》
“추상적 공간과 구체적 공간의 갈등” 《공간과 사회》
“상품화된 일상과 충족되지 않은 필요” 《로컬리티인문학》
“포퓰리즘의 두 가지 해석” 《민족문화연구》
“당연한 것을 낯설게 하는 실천, 불가능한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정치” 《진보평론》
“생명운동과 종교적 이상주의” 《모심과 살림》
“국가만 문제 삼는 우리들의 더 큰 문제다” 《진보평론》
2015년 “저항적 연대와 사회변혁” 《로컬리티인문학》
2016년 “라클라우가 말한 것과 말하지 못한 것” 《마르크스주의연구》
“몸과 기억의 반란” 《창작과 비평》
“아나키즘과 포스트-모던 정치이론 비교” 《인문학연구》
“비판정신의 실정과 민주화 세대의 이율배반” ≪대학: 담론과 쟁점≫
“난민을 관리하는 정치 또는 난민에 의한 ‘난민정치” ≪문화/과학≫
“기후변화 인식을 둘러싼 담론적 투쟁: 새로운 축적의 기회인가 체계 전환의 계기인가” ≪경제와 사회≫
“상품화된 일상과 붕괴된 연대, 하지만 희망을 ‘상상’해야 한다” ≪내일을 여는 역사≫
“브렉시트(Brexit), 우리네 세상을 들여다보는 창” ≪진보평론≫
2017년 “변화를 향한 열망, 하지만 여전히 규율되고 있는 의식: 2016년 촛불시위에 대한 하나의 해석” ≪마르크스주의연구≫
“제주에서 사회학하기: 사회학의 존재 의미 되찾기” ≪탐라문화≫
“Reading Korean Society through Stuart Hall’s Cultural Theory: Constructing A New Paradigm for Socialist Politics in the 21st Century", Inter-Asia Cultural Studies
“2017년 한국의 진보정당은 어떤 모습이어야 할까?” 《내일을 여는 역사》
“우리가 잃어버린 사회주의, 우리가 만들어야할 사회주의” 《진보평론》
2018년, “포트스모던 도시에 대한 사회학적 탐색” 《도시인문학연구》
“갑작스러운 타자의 출현, 우리를 돌아볼 수 있는 계기” 《진보평론》
“제주 제2공항과 민주주의 그리고 기반시설 공동관리자원의 가능성” 《기억과 전망》(장훈교와 공저)
2020년, “현대사회의 공포와 불안, 그리고 혐오 : ‘난민’이 문제가 되는 사회” 《탐라문화》
2021년, “부동산 불평등과 양극화 사회-불로소득 추구 ‘기회’의 평등화”, 《마르크스주의 연구》
, “원한과 혐오의 정치를 넘어 저항과 연대의 정치로 : 포퓰리즘 현상으로 읽는 오늘의 사회와 정치”, 《황해문화》
2022년, “생태주의, 페미니즘, 그리고 사회주의 : 위기의 시대, 전환의 길 찾기”, 《문화과학》
, “존재론적 깊이의 인식과 인식론적 상대주의의 실천: 포스트-혼종성 시대 지식생산과 교육 패러다임의 전환”, 《탐라문화》
, “소비주의적 주체의 경쟁 게임: 무한경쟁의 신체적 한계와 자본주의 가치법칙” 《경제와 사회》

+-

고성만 부교수

  • 세부전공

    역사사회학, 지역사회학, 문화인류학, 동아시아연구, 생활사연구, 질적연구방법론

  • 연구실인문대학 2호관 2층 1201호실
  • 전화/국제전화064_754-2785/+82-64-754-2785
  • 이메일wikigarden@jejunu.ac.kr
  • 홈페이지https://sociology.jejunu.ac.kr/
경력 및 논문
경력 및 논문
학력 2004 제주대 무역학과 경영학사
2006 제주대 사회학과 문학석사
2015 京都大学 社会学専修 博士(文学)
주요경력 제주특별자치도 행정심판위원회 위원 (23-27)
한국구술사학회 편집위원 (22-25)
제주대학교 학생진로취업부처장, 현장실습지원센터장, 여대생커리어개발센터장 (22-24)
제주특별자치도 인구정책조정위원회 위원 (22-24)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편집위원 (22-24)
오사카공립대학 인권문제연구센터 특별연구원 (22- )
일본군‘위안부’연구회 이사 (22-24)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제주사회문화조사연구센터장 (19-27)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일제식민잔재청산위원회 위원 (19-23)
한국사회사학회 편집위원, 운영위원 (19-23)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편집위원 (21-24)
제주학회 기획위원, 편집위원 (19- )
神戸学院大学 非常勤講師 (1704-1808)
京都市立芸術大学 非常勤講師 (1604-1609, 1704-1709, 1804-1808)
社会学研究会 編集担当 (1602-1808)
立命館大学 非常勤講師 (1510-1808)
大谷大学 非常勤講師 (1504-1808)
京都大学 非常勤講師 (1504-1808)
立命館大学 専門研究員 (1504-1808)
大阪市立大学 非常勤講師 (1310-1402, 1410-1502, 1510-1602, 1610-1702, 1710-1802)
大阪市立大学 研究員A (1305-1503)
日本学術振興会 特別研究員DC2 (1004-1203)
제주4·3연구소 연구원 (0503-0803)
주요논문 【저서】
° 속삭이는 내러티브 : 비판적 4·3 연구 2 (한그루, 2403, 공저)
° 비판적 4·3 연구 (한그루, 2303, 공저)
° 総力戦·帝国崩壊·占領 (シリーズ戦争と社会 第3巻) (岩波書店, 2203, 공저)
° 어떻게 여기 난민-난민 경험과 기억 (온샘, 2205, 공저)
° 왜 지금 난민-난민의 출현과 인식 (온샘, 2103, 공저)
° 雑草たちの奇妙な声―現場ってなんだ?! (風響社, 2103, 공저)
° 일제강점기 제주인 강제동원 실태조사 (제주특별자치도·제주대학교, 2012, 공저)
° Archives for Maintaining Community and Society in the Digital Age (Springer, 2012, 공저)
° 知と実践のブリコラージュ―生存をめぐる研究の現場 (晃洋書房, 2003, 공저)
° 일본 가고시마현 아마미오시마 지역 전쟁 유적지 조사 연구 (제주연구원 제주학연구센터, 1912, 공저)
° 일제강점기 제주인 강제동원 실태조사 (제주특별자치도·제주대학교, 1912, 공저)
° 民主、文化與認同―李筱峰教授榮退學術論文集 (玉山社, 1811, 공저)
° 済州島を知るための55章 (明石書店, 1809, 공저)
° 분단생태계와 통일의 교량자들 (한국문화사, 1712, 공저)
° 〈犠牲者〉のポリティクス: 済州4·3/沖縄/台湾2·28 歴史清算をめぐる苦悩 (京都大学学術出版会, 1704)
° 재일제주인의 생활사2-고향의 가족, 북의 가족 (선인, 1512, 공저)
° Routledge Handbook of Memory and Reconciliation in East Asia (Routledge, 1510, 공저)
° 재일제주인과 마이너리티 (경인문화사, 1412, 공저)
° 제일제주인의 생활사 1-안주의 땅을 찾아서(선인, 1201, 공저)
° 가매기 모른 식게-북촌리, 동복리 사람들의 4·3유산 (각, 1103, 공저)
° 国家と追悼: 「靖国神社か、国立追悼施設か」を超えて (社会評論社, 1008, 공저)
° 마당-일본 교토 히가시구죠마당 이야기 (각, 1010, 공저)
° 그늘 속의 4·3-死·삶과 기억 (선인, 0901, 공저)
° 뼈와 굿-다랑쉬에서 정뜨르까지 4·3 유해발굴의 기록 (각, 0803, 공저)
° 몸에 새긴 역사의 기억(각, 0403, 공저)

【논문】
° ‘해결’ 전야에 4·3연구가 던져야 할 질문들-22대 국회 4·3특별법 개정안을 사례로 (2408, 제주도연구)
° 역사 왜곡과 법적 규제-제주4·3특별법 제13조를 중심으로 (2309, 통일인문학)
° 4·3과 10·19, 비교연구를 위한 초국경적 상상력과 과제 (2303, 탐라문화)
° 1948 일본행 엑소더스-연합국 최고사령부 보고서를 통해 본 제주 사람들의 밀항 (2212, 일본학, 공저)
° 제주 4·3 모델의 (불)가능성과 남은 과제들 (2203, 창작과비평)
° KIN Gen-chin 찾기-1948년 영연방 점령군 보고서에 기재된 제주 출신 ‘불법입국자’ 분석 (2202, 제주도연구)
° 2기 4·3특별법 체제의 쟁점과 난점 (2112, 통일인문학)
° 경계 위의 과거청산-제주4·3사건과 대만2·28사건 비교사 연구를 위한 시론- (2108, 제주도연구)
° 4·3 연구의 불/가능성에 대해 (2104, 제주작가)
° 4·3 ‘희생자’의 변용과 활용-무장대 출신자의 과거청산 경험을 사례로 (2103, 사회와역사)
° 국민국가의 틈새에서-대만2·28사건의 외국인 ‘수난자’를 사례로 (2010, 탐라문화)
° 【촌평】‘소리 없는 혁명’에서 빼앗겨버린 소리_권헌익『전쟁과 가족』 (2009, 창작과비평)
° 타자들의 2·28-실종자의 사후처리를 둘러싼 요나구니섬 유족들의 궁리와 실천 (1909, 구술사연구)
° 태평양 전쟁 말기 요카렌(予科練)의 제주도 주둔과 위안소-성산 지역을 중심으로 (1906, 탐라문화, 공저)
° 韓國與台灣轉型正義之比較―以韓國四三事件為中心 (1809, 文史臺灣學報)
° 「犠牲者」を乗り越えて (1807, 世界)
° Trans-Border Rituals for the Dead: Experiential Knowledge of Paternal Relatives after the Jeju 4.3 Incident (1804, Journal of Korean Religions)
° 虐殺以後の家系記録―台湾2·28事件にまつわる南西諸島出身の行方不明者の事例から (1712, コンタクト·ゾーン)
° 「移行期正義」とローカル·リアリティ―済州4·3事件以降を見つめなおす (1605, コリアン·スタディーズ)
° 反共社会を生き抜くための体験記述―済州4·3事件にかかわる公的文書を読み解く (1603, 人権問題研究)
° 大量死の意味をめぐるローカルな知の生成と実践―済州4·3事件の民間人死者および行方不明者にまつわる父系出自集団の記録をめぐって (1503, 文化人類学)
° 紛争後社会における大量死の意味づけ―沖縄戦の戦後処理と済州四·三事件の過去清算の事例から―(1206, ソシオロジ)
° 済州海軍基地と四·三過去清算 (1201, インパクション)
° <ヒトからモノへ>を再考する (1108, 季刊考古学)
° 4·3과거청산과 ‘희생자’-재구성되는 죽음에 대한 재고-(1102, 탐라문화)
° 大量虐殺の過去清算における「合意」に関する研究―「済州4·3事件真相究明及び犠牲者名誉回復委員会」の「犠牲者審議·決定」を事例として (0912, 京都社会学年報)
° 4·3위원회의 기념사업에서 선택되고 제외되는 것들 (0802, 역사비평)
° 4·3희생자 유해발굴, 유류품을 통해 본 제주4·3 (0712, 4·3과역사)
° 제주 4·3담론의 형성과 정치적 작용 (0512, 4·3과역사)

+-

백영경 부교수

  • 세부전공

    의료사회학 문화인류학

  • 연구실인문2호 4층 1402호
  • 전화/국제전화064-754-2783/+82-64-754-2783
  • 이메일paix@jejunu.ac.kr
  • 홈페이지http://sociology.jejunu.ac.kr/
경력 및 논문
경력 및 논문
학력

1992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 문학석사
2005 미국 Johns Hopkins University 인류학석사
2009 미국 Johns Hopkins University 인류학박사

주요경력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교수 2012~2019.8
한국과학기술원 겸직교수 2012.7.~2016.6.
現 (사) 한국여성연구소 운영위원 (‘12~)
現 (사) 장애여성공감 연구위원 (‘14~)
現 계간 창작과 비평 편집위원 (‘14~)
現 성과재생산포럼 기획위원 (‘16~)
前 한국여성민우회 이사 (‘11~17)

주요논문

저서
1. 고독한 나에서 함께하는 우리로: 다양한 분야 학자들의 인문학적 소통과 상상 유범상, 이용철, 하혜숙, 이긍희, 정성희, 강상규, 송찬섭, 백영경, 김엘림, 장일, 성미애, 이해주, 조승현, 이봉민 지음 지식의날개2016년 01월 05일
2. 문화와교양, 이정호, 정준영, 이혜령, 송찬섭, 백영경, 이창언, 진보성, 이필렬 지음 방송대출판문화원2020년 01월 25일
3. 성·사랑·사회, 백영경, 김엘리, 박진희, 박혜경, 배은경, 이남희, 이선옥, 이해진, 조주은, 추지현, 태희원, 박상희(한채윤) 지음
방송대출판문화원2016년 07월 25일
4. 영화 속 역사와 현실 다시 보고, 사색하기 이정호, 이혜령, 이종훈, 이병창, 이필렬, 정준영, 박구병, 김정락, 백영경, 한길석, 송찬섭 지음지식의날개2017년 08월 23일
5. 영화로생각하기, 이정호, 강대진, 김은경, 백영경, 송찬섭, 이필렬, 이한규, 이혜령, 정준영, 최재인, 한길석 지음
방송대출판문화원2020년 01월 25일
6. [eBook] 인간과사회 ISBN : 9788920441837백영경, 정준영, 정태석 지음2016년 08월 01일 방송대출판문화원
7. 인물로 본 문화, 김원중, 노서경, 배경한, 백영경, 변은진, 송찬섭, 이진옥, 이창언, 이필렬, 이혜령, 이홍락, 이희수, 임채광, 정준영, 조행복 지음방송대출판문화원2019년 07월 25일
8. 정보사회와디지털문화, 정준영, 백영경, 이소연 지음
방송대 출판문화원2020년 01월 25일
9. 취미와 예술 문성희, 백영경, 백웅재, 설혜심, 유영희, 장일, 정준영, 허진 지음 방송대출판문화원2019년 07월 25일
10. 한국사회문제 구도완, 김종엽, 노성훈, 박경태, 백영경, 엄기호, 윤태호, 이수정, 이정희, 장경호, 조효제, 최병두, 한건수, 한재각, 황정미 지음 방송대출판문화원2017년 01월 25일
11. ‘A vaccine for the nation’: South Korea's development of a hepatitis B vaccine and national prevention strategy focused on newborns, in The politics of vaccination A global history. Edited by Christine Holmberg, Stuart Blume and Paul Greenough
ISBN: 978-1-5261-1088-6 Publisher: Manchester University Press
Published Date: March 2017.
12. 공저, 대한민국 인권근현대사, 국가인권위원회, 2019, 12.
13. 공저, 한중 여성 트랜스내셔널하게 읽기 : 지식, 인구, 노동
김미란(엮은이)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기획) 한울(한울아카데미) 2017-06-15




논문
201904 공동체적인 삶과 ‘유산’(Heritage)의 의미에 대한 사회과학적 연구: 제주 마을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 논문 또는 저서는 2017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7S1A3A2067220)
201807 태평양 지역 섬의 군사화와 탈식민, 그리고 커먼즈
201804 질병의 사회적 구성과 개입 방식의 변화: 질병 인식의 변화 및 병과 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융합적 연구
201707 커먼즈와 복지: 사회재생산 위기에 대한 통합적 접근을 위한 시론
201706 아픈 몸에 대한 사회적 낙인은 어디에서 오는가: 여성 건강에 사회적 인식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201512 대만 원주민의 토지반환운동과 공동체-공동자원 관계의 변동

+-

김도균 부교수

  • 세부전공

    복지국가론, 계급·계층, 경제사회학, 사회변동

  • 연구실인문2호 1411호
  • 전화/국제전화064-754-2786/+82-64-754-2786
  • 이메일dkkim20@jejunu.ac.kr
  • 홈페이지http://sociology.jejunu.ac.kr/
경력 및 논문
경력 및 논문
학력

1993.3-1998.2 서울대 수학 학사
1998.3-2003.2 서울대 사회학 석사
2004.9-2013.2 서울대 사회학 박사

주요경력

교토대학교 방문연구원 2008-2009
고려대 정부학연구소 연구교수 2013-2014
막스플랑크 사회연구소(MPIfG) 방문연구원 2014-2015
경기연구원 연구위원 2015-2020

주요논문

한국 복지자본주의의 역사: 자산기반복지의 형성과 변화(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8)
자신에게 고용된 사람들: 한국의 자영업자 보고서(후마니타스, 2017, 공저)

+-

전원근 부교수

  • 세부전공

    동아시아 사회문화, 비판적 경계 및 안보연구, 다종적 모빌리티, 퀴어 생태학

  • 연구실인문2호 1413호
  • 전화/국제전화064-754-2787/
  • 이메일wonggui@jejunu.ac.kr
  • 홈페이지http://sociology.jejunu.ac.kr/
경력 및 논문
경력 및 논문
학력

2007 성균관대학교 사회학전공 문학사
2009 서울대학교 사회학전공 사회학석사
2019 서울대학교 사회학전공 사회학박사

주요경력

2014-2017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7-2018 도쿄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Japan Foundation Fellowship)
2019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객원연구원
2020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연구교수
2020-2024 비판사회학회 연구이사
2022-현재 한국사회사학회, 이론사회학회 학술이사
2024-현재 평화페미니즘연구소(FIPS) 연구위원
2023-2026 한국연구재단 일반공동연구지원사업 연구책임자 (<다종적 모빌리티 관점에서 본 연안 인프라스트럭처: 지속가능한 연안을 위한 다학제적 연구>)

주요논문

[논문]
“해마의 상품화와 이동정치: 제주 해마 양식과 이성애규범적 상품화를 중심으로” 「공간과 사회」(2025.06)
(공저) “인프라를 형성하는 다종, 다종을 형성하는 인프라” 「공간과 사회」(2025.06)
1970년대 한국 조경 도입과 실천에 대한 비판적 검토, 「공간과 사회」, (2024.12)
연안마을 인프라의 연쇄와 폐허의 생산: 애월항의 다종적 모빌리티를 중심으로, 「사회와 이론」 (2024.11)
(공저) 한국 성소수자 연구 동향과 과제 - 체계적 문헌고찰 및 텍스트 분석, 「경제와 사회」 (2024.09)
'자연'을 시뮬레이션하기: '물생활'의 행위자-네트워크와 (비)인간 주체성의 전환, 「사회와 이론」 (2023.03)
퀴어 디비전과 안보의 정치: 한국사회의 성소수자 정치를 독해하는 하나의 틀, 「미디어, 젠더 & 문화」 (2022.03)
(공저) The Production of a Geopolitical Imaginary in the East Asian Cold War: The Case of the Five West Sea Islands of South Korea, AREA (2021.12) (SSCI)
1인 미디어 시대의 ‘섬’수행의 변화에 대한 연구: 격리와 통합의 모순적 결합, 「탐라문화」 (2020.10)
베트남전쟁 소설 『하얀 전쟁』의 ‘유령’에 대한 사회학적 독해, 「인문사회 21」 (2020.10)
(공저) 제국의 영역의 다중스케일적 형성과정 분석 - 1930년대 일제의 일본해호수화론(日本海湖水化)론을 사례로, 「문화역사지리」 (2020.12)
냉전기 통일촌 건설을 통해 본 ‘전방’의 의미화 과정 - 장벽, 전시장, 캠프, 「사회와역사」 (2020.03)
퀴어X아시아: 동아시아 퀴어 지정학과 초국경 이동성, 「Diverse Asia」 (2019.12)
1970년대 국가 프로젝트로서 ‘땅굴’과 전방의 냉전경관화 , 「문화와 사회」(2019.08)
1980년대 『선데이서울』에 나타난 동성애 담론과 남성 동성애자들의 경험, 「젠더와 문화」 (2015.12)
동아시아 최전방 낙도에서의 냉전경관 형성 - 1970년대 서해5도의 요새화와 개발을 중심으로, 「사회와역사」 (2014.12)

[저서]
(공저) 『DMZ 접경지역의 비평화 실태에 관한 인문학적 연구: 전략촌을 중심으로』, 통일연구원(2021.02)
(공저) 『대한민국 인권 근현대사 3편』, 국가인권위원회 (2019.12)
(공저) 『장애인 문화예술 일자리연구』,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17.03)
(공저) 『냉전의 섬 금문도의 재탄생』, 정근식·김민환 편 (2016.07)

+-

신행철(Haeng-chul Shin) 명예교수

경력 및 논문
경력 및 논문
학력

1961년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사회학과 (문학사).
1978년 중앙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문학석사).
1987년 연세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문학박사).

주요경력

1988.5-1989.2 제주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소장
1988.12-1989.12 한국사회학회 부회장
1989.12-1991.12 제주대학교 인문대학 학장
1993.1.-1994.12 제주도연구회 회장
1994.9.-1995.11. 제주대학교 기획 연구실장
1998.7.-1999.8. 미국 아이오와대 교환교수

주요논문

+-

정대연(Dai-Yeun Jeong) 명예교수

경력 및 논문
경력 및 논문
학력

1974년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학사 졸업
1976년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석사 졸업
1988년 호주 퀸즈랜드(Queensland)대학교 대학원 박사 졸업

주요경력

제주대학교 지역사회발전연구소 소장
인문대학 교무과장
제주특별자치도 환경영향평가심의위원
국제자유도시 추진위원회 위원장
대통령자문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위원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 한국정부 대표
OECD 환경회의 한국정부 대표

주요논문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Research on Environmental Carrying Capacity among Islands 」
Socio-Economic Costs from Yellow Dust Damages in South Korea」
「From the Ideology of Sustainable Development to Modelling a Sustainable Society: Conceptualizing Policy Change and Environmental Indicator Interactions in South Korea 」
2002년 환경사회학
2004년 환경주의와 지속가능한 발전
2010년 한국 지속가능발전의 구조와 변동

+-

김석준 (Kim, Suk Joon) 명예교수

  • 세부전공

    사회계층론 (Social Stratification) 사회조직론 (Social Organization) 농업사회학 (Rural Sociology) 의료사회학 (Medical Sociology)

  • 연구실
  • 전화/국제전화/
  • 이메일ksj001@jejunu.ac.kr
  • 홈페이지
경력 및 논문
경력 및 논문
학력

1974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졸업
1976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석사
1988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박사

주요경력
주요논문

1995 제주사회론 (공저)
1996 도박의 실태와 의식에 관한 연구(공저)
1998 한국사회의 신중간계급
1999 한국사회의 계급연구(공저)




제주지역의 도박합법화와 사회적 합의의 과제 (공저, 2014)
제주도의 기후·생태학적 변화와 사회문화변동 (2013)
제주 4.3의 경험과 마을공동체의 변화 (공저, 2001)
도박의 정치경제학 (공저, 1999)
제주지역의 선거(1948-1992): 개괄적 검토와 재해석 (1997)
제주도 농촌 마을의 계결사체와 사회통합 (1993) 외 다수.

+-

이상철 (Lee, Sang Cheol) 명예교수

  • 세부전공

    산업사회학 (Industrial Sociology) 사회변동론 (Social Change)

  • 연구실
  • 전화/국제전화/
  • 이메일sanglee@cheju.ac.kr
  • 홈페이지
경력 및 논문
경력 및 논문
학력

1977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졸업
1983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석사
1991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박사

주요경력
주요논문

1998 제주사회론2 (공저)
2002 제주지역 성인 여성의 자원봉사활동 (공저)
2003 제주지역 민간신앙의 구조와 변용 (공저)
2003 전환기 제주도 지역개발정책의 성찰과 방향 (공저)




여가와 자본주의 : 등산의 스포츠화와 상품화,「산업과 노동」2,2001.
제주도 관광호텔 종사자의 노동실태와 의식구조,「제주도 연구」20집,2001.

+-

조성윤 (Cho, Sung Youn) 명예교수

  • 세부전공

    사회사 (Social History) 종교사회학 (Sociology of Religion) 사회운동 (Social Movement)

  • 연구실
  • 전화/국제전화/
  • 이메일chomin999@hanmail.net
  • 홈페이지
경력 및 논문
경력 및 논문
학력

1977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졸업
1983 연세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석사
1992 연세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박사

주요경력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장 역임
한국사회사학회 회장 역임
한국사회학회 부회장 역임
제주참여환경연대 공동대표 역임

주요논문

2003 제주지역 민간신앙의 구조와 변용 (공저)
2005 무통문명 (공역)
2007 빼앗긴 시대 빼앗긴 시절-제주도 민중들의 이야기 (공저)
2008 일제말기 제주도의 일본군 연구 (편저)
2008 일제하 제주도 주둔 일본군 군사유적지 현장조사 보고서 I (편저)
2012 추자도바당 (공저)
2013 제주와 오키나와 (공저)
2013 창가학회와 재일한국인
2013 숙명전환의 선물 (공저)





제주도 지역개발정책과 주민운동의 전망 (2003)
제주도에 들어온 일본종교와 재일교포의 역할 (2005)
지역 주민 운동의 논리와 근대화 이데올로기 (2005)
고난의 섬에서 평화의 섬으로 (2008)
일본 속의 한국종교 (2008)
제국 일본의 남양군도 지배와 연구동향(2010)
이어도에 관한 제주도 주민들의 이미지(2011)
전쟁의 기억과 재현 : 오키나와 현립 평화기념 자료관을 중심으로(2011)
제주도의 평화 정책과 해군기지 문제(2011)
알뜨르 비행장 : 일본 해군의 제주도 항공기지 건설 과정(2012)
왜색종교 : 1964년의 한국 창가학회와 국가 폭력(2013)
영국 배의 소코트라 암초 발견과 측량의 역사적 의미(2013)
일본의 소코트라 락(Socotra Rock) 인공섬 조성 계획(2014)

+-

김진영 (Kim, Jin Young) 명예교수

  • 세부전공

    산업사회학 (Industrial Sociology) 정보사회학 (Sociology of Information) 사회문제 및 사회복지 (Social Problems and Social Welfare)

  • 연구실
  • 전화/국제전화/
  • 이메일jykim@cheju.ac.kr
  • 홈페이지
경력 및 논문
경력 및 논문
학력

1981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졸업
1984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석사
1993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박사

주요경력

제주대학교 언론출판센터 주간
고려대학교, 미국 미시간대학교 객원교수
제주대학교 인문대학 학장
러시아 사회과학학술원 정회원(현)
제주학회 회장(현)

주요논문

1986 현대자본주의와 중간계급 (공역)
1994 정보기술과 화이트칼라 노동
1995 제주사회론 (공저)
1998 제주사회론2 (공저)
1999 한국사회의 계급연구 (공저)
2000 전환기 제주의 의식과 제주정신 (공저)
2000 현대사회학의 이해 (공저)
2006 제주사회와 사회복지




정보기술과 화이트칼라 노동과정의 변화: 은행 및 보험기업의 사례연구(1994)
금융기업의 전산화와 노동과정의 변화: 은행을 중심으로(1994)
가정의례 의식과 개선운동: 제주사회의 가정의례 행위를 중심으로(1995)
제주 사회복지 제도·행정의 변화(1996)
제주인의 의식과 정주정신의 정립(공저, 1997)
청소년비행의 원인 분석을 위한 경험적 연구: 제주지역의 청소년을 대상으로(1997)
계급과 노동과정(1999)
정보사회에서의 노동세계 변화(1999)
화이트칼라 노동운동과 노동과정(2002)
장수형 노인복지 통합모형(공저, 2003)
제주 장수 노인의 인구현황과 일상생활 수행 능력(2003)
고령화사회 제주노인의 특성과 복지정책 방향(2004)
제주지역 직장여성의 직무만족도 수준 분석(공저, 2006)
제주지역 노인의 여가활동 조사연구(2009)
제주장수노인의 사회적 부양체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2010) 외 다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