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현 교수
- 세부전공
문화 및 정치사회학
- 연구실인문대학 2호관 3층 1301호실
- 전화/국제전화064) 754-2781/+82-64-754-2781
- 이메일nuni85@cheju.ac.kr
- 홈페이지https://sociology.jejunu.ac.kr/
교수진

최현 교수
문화 및 정치사회학
| 경력 및 논문 | |
|---|---|
| 학력 | 1989 서울대학교 사회학사 |
| 주요경력 | |
| 주요논문 | 2005. 한국종합사회조사 2004
|

서영표 교수
환경사회학, 사회학이론, 정치사회학, 도시사회학
| 경력 및 논문 | |
|---|---|
| 학력 | 1996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졸업 문학사 |
| 주요경력 | |
| 주요논문 | 저서 학술논문 |

고성만 부교수
역사사회학, 지역사회학, 문화인류학, 동아시아연구, 생활사연구, 질적연구방법론
| 경력 및 논문 | |
|---|---|
| 학력 | 2004 제주대 무역학과 경영학사
2006 제주대 사회학과 문학석사 2015 京都大学 社会学専修 博士(文学) |
| 주요경력 | 제주특별자치도 행정심판위원회 위원 (23-27)
한국구술사학회 편집위원 (22-25) 제주대학교 학생진로취업부처장, 현장실습지원센터장, 여대생커리어개발센터장 (22-24) 제주특별자치도 인구정책조정위원회 위원 (22-24)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편집위원 (22-24) 오사카공립대학 인권문제연구센터 특별연구원 (22- ) 일본군‘위안부’연구회 이사 (22-24)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제주사회문화조사연구센터장 (19-27)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일제식민잔재청산위원회 위원 (19-23) 한국사회사학회 편집위원, 운영위원 (19-23)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편집위원 (21-24) 제주학회 기획위원, 편집위원 (19- ) 神戸学院大学 非常勤講師 (1704-1808) 京都市立芸術大学 非常勤講師 (1604-1609, 1704-1709, 1804-1808) 社会学研究会 編集担当 (1602-1808) 立命館大学 非常勤講師 (1510-1808) 大谷大学 非常勤講師 (1504-1808) 京都大学 非常勤講師 (1504-1808) 立命館大学 専門研究員 (1504-1808) 大阪市立大学 非常勤講師 (1310-1402, 1410-1502, 1510-1602, 1610-1702, 1710-1802) 大阪市立大学 研究員A (1305-1503) 日本学術振興会 特別研究員DC2 (1004-1203) 제주4·3연구소 연구원 (0503-0803) |
| 주요논문 | 【저서】
° 속삭이는 내러티브 : 비판적 4·3 연구 2 (한그루, 2403, 공저) ° 비판적 4·3 연구 (한그루, 2303, 공저) ° 総力戦·帝国崩壊·占領 (シリーズ戦争と社会 第3巻) (岩波書店, 2203, 공저) ° 어떻게 여기 난민-난민 경험과 기억 (온샘, 2205, 공저) ° 왜 지금 난민-난민의 출현과 인식 (온샘, 2103, 공저) ° 雑草たちの奇妙な声―現場ってなんだ?! (風響社, 2103, 공저) ° 일제강점기 제주인 강제동원 실태조사 (제주특별자치도·제주대학교, 2012, 공저) ° Archives for Maintaining Community and Society in the Digital Age (Springer, 2012, 공저) ° 知と実践のブリコラージュ―生存をめぐる研究の現場 (晃洋書房, 2003, 공저) ° 일본 가고시마현 아마미오시마 지역 전쟁 유적지 조사 연구 (제주연구원 제주학연구센터, 1912, 공저) ° 일제강점기 제주인 강제동원 실태조사 (제주특별자치도·제주대학교, 1912, 공저) ° 民主、文化與認同―李筱峰教授榮退學術論文集 (玉山社, 1811, 공저) ° 済州島を知るための55章 (明石書店, 1809, 공저) ° 분단생태계와 통일의 교량자들 (한국문화사, 1712, 공저) ° 〈犠牲者〉のポリティクス: 済州4·3/沖縄/台湾2·28 歴史清算をめぐる苦悩 (京都大学学術出版会, 1704) ° 재일제주인의 생활사2-고향의 가족, 북의 가족 (선인, 1512, 공저) ° Routledge Handbook of Memory and Reconciliation in East Asia (Routledge, 1510, 공저) ° 재일제주인과 마이너리티 (경인문화사, 1412, 공저) ° 제일제주인의 생활사 1-안주의 땅을 찾아서(선인, 1201, 공저) ° 가매기 모른 식게-북촌리, 동복리 사람들의 4·3유산 (각, 1103, 공저) ° 国家と追悼: 「靖国神社か、国立追悼施設か」を超えて (社会評論社, 1008, 공저) ° 마당-일본 교토 히가시구죠마당 이야기 (각, 1010, 공저) ° 그늘 속의 4·3-死·삶과 기억 (선인, 0901, 공저) ° 뼈와 굿-다랑쉬에서 정뜨르까지 4·3 유해발굴의 기록 (각, 0803, 공저) ° 몸에 새긴 역사의 기억(각, 0403, 공저) 【논문】 ° ‘해결’ 전야에 4·3연구가 던져야 할 질문들-22대 국회 4·3특별법 개정안을 사례로 (2408, 제주도연구) ° 역사 왜곡과 법적 규제-제주4·3특별법 제13조를 중심으로 (2309, 통일인문학) ° 4·3과 10·19, 비교연구를 위한 초국경적 상상력과 과제 (2303, 탐라문화) ° 1948 일본행 엑소더스-연합국 최고사령부 보고서를 통해 본 제주 사람들의 밀항 (2212, 일본학, 공저) ° 제주 4·3 모델의 (불)가능성과 남은 과제들 (2203, 창작과비평) ° KIN Gen-chin 찾기-1948년 영연방 점령군 보고서에 기재된 제주 출신 ‘불법입국자’ 분석 (2202, 제주도연구) ° 2기 4·3특별법 체제의 쟁점과 난점 (2112, 통일인문학) ° 경계 위의 과거청산-제주4·3사건과 대만2·28사건 비교사 연구를 위한 시론- (2108, 제주도연구) ° 4·3 연구의 불/가능성에 대해 (2104, 제주작가) ° 4·3 ‘희생자’의 변용과 활용-무장대 출신자의 과거청산 경험을 사례로 (2103, 사회와역사) ° 국민국가의 틈새에서-대만2·28사건의 외국인 ‘수난자’를 사례로 (2010, 탐라문화) ° 【촌평】‘소리 없는 혁명’에서 빼앗겨버린 소리_권헌익『전쟁과 가족』 (2009, 창작과비평) ° 타자들의 2·28-실종자의 사후처리를 둘러싼 요나구니섬 유족들의 궁리와 실천 (1909, 구술사연구) ° 태평양 전쟁 말기 요카렌(予科練)의 제주도 주둔과 위안소-성산 지역을 중심으로 (1906, 탐라문화, 공저) ° 韓國與台灣轉型正義之比較―以韓國四三事件為中心 (1809, 文史臺灣學報) ° 「犠牲者」を乗り越えて (1807, 世界) ° Trans-Border Rituals for the Dead: Experiential Knowledge of Paternal Relatives after the Jeju 4.3 Incident (1804, Journal of Korean Religions) ° 虐殺以後の家系記録―台湾2·28事件にまつわる南西諸島出身の行方不明者の事例から (1712, コンタクト·ゾーン) ° 「移行期正義」とローカル·リアリティ―済州4·3事件以降を見つめなおす (1605, コリアン·スタディーズ) ° 反共社会を生き抜くための体験記述―済州4·3事件にかかわる公的文書を読み解く (1603, 人権問題研究) ° 大量死の意味をめぐるローカルな知の生成と実践―済州4·3事件の民間人死者および行方不明者にまつわる父系出自集団の記録をめぐって (1503, 文化人類学) ° 紛争後社会における大量死の意味づけ―沖縄戦の戦後処理と済州四·三事件の過去清算の事例から―(1206, ソシオロジ) ° 済州海軍基地と四·三過去清算 (1201, インパクション) ° <ヒトからモノへ>を再考する (1108, 季刊考古学) ° 4·3과거청산과 ‘희생자’-재구성되는 죽음에 대한 재고-(1102, 탐라문화) ° 大量虐殺の過去清算における「合意」に関する研究―「済州4·3事件真相究明及び犠牲者名誉回復委員会」の「犠牲者審議·決定」を事例として (0912, 京都社会学年報) ° 4·3위원회의 기념사업에서 선택되고 제외되는 것들 (0802, 역사비평) ° 4·3희생자 유해발굴, 유류품을 통해 본 제주4·3 (0712, 4·3과역사) ° 제주 4·3담론의 형성과 정치적 작용 (0512, 4·3과역사) |

백영경 부교수
의료사회학 문화인류학
| 경력 및 논문 | |
|---|---|
| 학력 | 1992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 문학석사 |
| 주요경력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교수 2012~2019.8 |
| 주요논문 | 저서
|

김도균 부교수
복지국가론, 계급·계층, 경제사회학, 사회변동
| 경력 및 논문 | |
|---|---|
| 학력 | 1993.3-1998.2 서울대 수학 학사
|
| 주요경력 | 교토대학교 방문연구원 2008-2009
|
| 주요논문 | 한국 복지자본주의의 역사: 자산기반복지의 형성과 변화(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8)
|

전원근 부교수
동아시아 사회문화, 비판적 경계 및 안보연구, 다종적 모빌리티, 퀴어 생태학
| 경력 및 논문 | |
|---|---|
| 학력 | 2007 성균관대학교 사회학전공 문학사
|
| 주요경력 | 2014-2017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
| 주요논문 | [논문]
[저서]
|

신행철(Haeng-chul Shin) 명예교수
계급사회학
| 경력 및 논문 | |
|---|---|
| 학력 | 1961년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사회학과 (문학사). |
| 주요경력 | 1988.5-1989.2 제주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소장 |
| 주요논문 | |

정대연(Dai-Yeun Jeong) 명예교수
환경사회학, 사회통계
| 경력 및 논문 | |
|---|---|
| 학력 | 1974년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학사 졸업 |
| 주요경력 | 제주대학교 지역사회발전연구소 소장 |
| 주요논문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Research on Environmental Carrying Capacity among Islands 」 |

| 경력 및 논문 | |
|---|---|
| 학력 | 1974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졸업 |
| 주요경력 | |
| 주요논문 | 1995 제주사회론 (공저) |

| 경력 및 논문 | |
|---|---|
| 학력 | 1977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졸업 |
| 주요경력 | |
| 주요논문 | 1998 제주사회론2 (공저) |

| 경력 및 논문 | |
|---|---|
| 학력 | 1977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졸업 |
| 주요경력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장 역임 |
| 주요논문 | 2003 제주지역 민간신앙의 구조와 변용 (공저)
|

| 경력 및 논문 | |
|---|---|
| 학력 | 1981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졸업
|
| 주요경력 | 제주대학교 언론출판센터 주간
|
| 주요논문 | 1986 현대자본주의와 중간계급 (공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