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학과 인재상
- 사회학적 상상력을 갖춘 인재.
- 동료시민에 대한 공감능력을 가진 인재
- 사회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인재
교육목표
우리 사회학과의 교육목표는 학생들이 사회학적 상상력과 공감능력을 기르도록 돕는 것이다. 사회학적 상상력과 공감능력은 학생들이 살아가면서 해결해야 할 문제를 파악하고 사회현상과 개인에 대한 과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다.
전공능력
| 구분 | 전공 역량 | 정의 | 전공역량 선정 및 구성 상유 |
|---|---|---|---|
| 전공역량 체계 | 자료 분석 능력 | 조사나 실험을 통해서 얻어진 정보의 연구와 처리능력 | 양적·질적조사를 통해 수집된 유무형의 데이터를 분석하고 학술적 문장으로 표현하는데 요구되는 능력임 |
| 문제해결 능력 | 문제 상황 발생 시 논리적이고 창조적인 사고를 통해 이를 적절하게 해결하는 능력 | 로컬 - 내셔널 - 글로벌 영역의 현대 사회문제를 사회학적 지식과 방법론을 구사하여 파악하고 이를 현실의 다종다양한 문제 해결의 지식으로 활용하는데 요구되는 능력임. | |
| 비판적 사고 능력 | 편견, 감정, 권위에 맹종하지 않고 논리적이고 합리적으로 평가, 분석, 분류 할 수 있는 사고과정 | 사회 및 개인에 대한 인문사회과학적 분석 능력과 통찰력을 기르고 타자를 이해하는데 요구되는 능력임 |
발전전략
| 사회학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한 연구 | 맞춤형 인재양성 | 학생지원 및 교육환경 개선 | |||||
|---|---|---|---|---|---|---|---|
| 목표 | 상생협력의 연구하는 학과 |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학과 | 학과 지속운영 기반 강화 | ||||
| 전략 | 지역 내 현안 등 현지 조사실습을 통한 사회수요조사를 통한 지역상생 | 학부 - 대학원생 간 교류 및 협력을 통한 사회학 전공·연구 능력 함양 | 사회조사방법론, 사회통계, 사회조사실습 과목 등을 통한 사회학 전공 능력 함양 | 인재양성을 위한 논문연구 수업 별도 운영(학부, 대학원) | 사회학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한 개별 졸업논문 작성(학부, 대학원) | 최소 학기당 1회 이상 지도교수와의 상담 진행 | 학생 세미나실을 이용한 데이터 활용 공간 구축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