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생 소개(2025-1학기 기준)
| 이름 |
과정 (수료 포함) |
이메일 | 연구관심 | 자기소개 및 이력 |
|---|---|---|---|---|
|
이태영 Lee Taeyoung |
박사 |
greatyoung22@gmail.com |
개발주의, 토건국가, 발전국가, 사회운동 |
이태영·김도균. 2024. "지방 공영개발의 작동 방식과 성격 변화: 공공성과 수익성을 중심으로". <공간과사회> 제34권 4호. / 이태영. 2024. "야마기시즘 운동의 구상과 역사적 전개에 관한 연구". <농촌사회> 제32권 2호. / 현우식·이태영. 2024. "한국 비판사회학의 자율성 문제에 관한 논의 - "글로벌 지식장의 상징폭력"을 둘러싼 논쟁을 중심으로". <경제와사회> 제143호. / 윤여일·김자경·이태영. 2024. "커먼즈 시각에서 지역의 복합적 갈등을 분석하기-월정리의 하수처리장 갈등, 카페촌 갈등, 해상풍력 갈등에 대한 대안적 접근". <경제와사회> 제142호. / 이태영. 2022. "1980년대 이후 한국 농지전용 급증 원인에 관한 연구: 농정의 변화와 국가의 개발행위 분석을 중심으로". <공간과사회> 제32권 4호. |
|
양희주 YANG HEE JU |
박사 |
hdr049@gmail.com |
페미니즘, 농촌, 공동체 |
|
|
김상애 Sangae Kim |
박사 |
ratherlove@naver.com |
딸됨, 상속, 개발/발전, 마을 |
|
|
이규홍 LEE, KYUHONG |
석사 |
astersilab@gmail.com |
4·3, 기억과 기념, 재현 |
|
|
김민범 Minbeom Kim |
박사 |
kmb9910@daum.net |
이주, 이주노동(계절 이주노동), 농촌, 지역사회 |
|
|
이혜령 LEE HYE LYOUNG |
석사 |
dapls815@gmail.com |
문화연구, 기억, 정동, 모빌리티, 남아시아, 대안개발협력 |
독립문화기획자로 프로젝트 제주2 《이주하는 인간, 호모 미그라티오》, 4ㆍ3미술제, 《버드하우스프로젝트인제주》, 인권 사진전 《나와 아시아》, 《평화의 정원》, 콕스바잘 비엔날레(방글라데시) 등 주요 공공예술프로젝트에 참여했다. 또한, 국제개발협력 대안프로젝트팀 답엘에스(DAPLS)에서 활동하며, 문화예술을 매개로 평화, 인권, 환경 등 글로벌 이슈를 다루는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
|
임일규 LimilKyu |
석사 |
1qlim2112@gmail.com |
삶, 자유, 변화, 안보, 보람 |
삶의 방향을 ‘학이시습지(學而時習之) 불역열호(不亦說乎)' 로 삼고, 육침맹고(陸沈盲瞽)하는 딜레탕트(dilettante) 입니다. |
|
고영구 |
박사 |
hcy0900@gmail.com |
4.3, 장소, 기억 |
4.3 현장조사 |
|
윤한결 Yun Han-gyeol |
박사 |
baram_sum@naver.com |
사진, 예술 사회학, 페미니즘, 이미지 분석, 이미지 사회학 |
제주대에서 철학과 국어국문학을 공부했고, 홍익대학교 대학원에서 예술기획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받았습니다. 제주의 마을과 자연, 역사를 사진으로 기록하고 다양한 글을 씁니다. 예술이 사회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
|
신경준 Kyungjun Shin |
박사 |
steptome@naver.com |
의료, 퀴어, 민족지 |
|
|
손세호 |
박사 |
champion195@naver.com |
|
|
|
김태연 KIM Tae-Yeon |
박사 |
dara-ty@naver.com |
|
|
|
고경아 Ko Kyung A |
박사 |
jejukokori@gmail.com |
과학사회학, 제주사회 담론, 공포와 비체 |
제주대학교 사회학과에서 석사를 졸업하고 동 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하였습니다. 과학 전반에 관심이 있으며 현재 제주 지역에 대한 담론 연구를 진행중입니다. 최근에는 호러 장르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
|
진영옥 JIN YOUNGOK |
박사 |
youngok6248@hanmail.net |
Post memory, 빨갱이 혐오 감정,애도, 돌봄노동 칼폴라니의 사회와 자유개념 |
postmemory 와 1945년 해방전후 red complex 형성과정에 관심이 있습니다. 돌봄노동이 가정내에서 무보수로 요구되는 것과 자본주의와의 관계에도 관심이 있고요
|
|
조수진 Soojin Cho |
석사 |
sujieq@stu.jejunu.ac.kr |
과거사 정리, 집단기억, 집단감정, 공공역사 |
|
|
오고운 |
박사 |
okwline@hanmail.net |
피난민 이주, 한류 |
|
|
김누리 KIM NOORI |
석사 |
kimhannoori@gmail.com |
기억문화, 포스트기억, 예술의 사회적 실천과 매개 |
사회와 예술의 관계를 연구하고 있다. 특히 제주 4·3의 기억이 예술을 통해 이후 세대와 동시대 사람들에게 확장되는 과정을 탐색한다. 나아가 예술이 기억을 매개하는 실천에 주목하고 있다. 또한 예술가들의 창작 과정과 실천을 탐구한 ‘스투디오비짓’(2019)을 시작으로, 예술이 솟아나고 자라나는 과정과 이를 둘러싼 배경에 관심을 두고 프로젝트 기획 및 아카이브 작업을 지속해오고 있다.
|
|
안재홍 An jae hong |
박사 |
ancinejeju@naver.com |
장애, 퀴어, 동물, 기후, 교육, 정치 |
|
|
현우식 Hyun Woo Shik |
박사 |
woosigg@gmail.com |
라클라우, 정치, 담론, 이데올로기, 정체성 |
에르네스토 라클라우의 반본질주의 정치학을 주제로 박사학위논문을 준비 중이다. 개인화된 사회에서 정치적 협력과 연대의 조건에 대해 탐구하며, 라클라우의 이론을 통해 동시대 정치현상을 분석하고 개입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다.
|
|
박민희 PARK Min-hee |
박사 |
art_thinker@naver.com |
문화사회학, 역사사회학, 탈식민주의, 민족주의, 민중미술 |
예술 언어는 문자 언어 이전부터 존재했던 인류의 소통 방식입니다. 고대의 종교체험은 동시대의 미적체험과 다르지 않은 것이라는 호기심을 갖고 ‘사회적 발화 행위로서 미술’에 대해 연구합니다. 제22회 4.3미술제 <얼음의 투명한 눈물>(2015) 아카이브 전시 일을 도맡아 하며 제주 사회와 관계 맺기 시작했습니다. 이후 현재까지 전시 기획, 미술/작가/문화공간 아카이브 작업 등 시각예술분야를 중심으로 독립 기획자로 활동 중입니다. https://parkminhee.notion.site/ |
|
최혜영 Choi HyeaYeong |
박사 |
hiyoung0322@gmail.com |
제주해군기지반대운동, 군사주의, 생태주의, 에코페미니즘, 연산호, 사회운동과 예술 |
협력에 관심이 많으며 연산호 이미지를 통해 제주해군기지 신규 항로를 막아낸 과정을 ‘국가를 막아선 사진들’(2019) 서울사진축제 리서쳐로 참여하기도 했다. 막아내고 지킨다는 말에 무력감을 느낀다. 그럼에도 순간의 아름다움을 수집한다.
|








